유튜버 사업자 첫 소득신고 공개

2천776명 총 875억 수입

‘상위 1%' 얼마나 벌었나?’

 

유튜버 미디어 콘텐츠

창작 업 업종코드 신설 이래

첫 종합 소득 신고 내용이

공개되어 이목이 쏠렸다.

14일 오늘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수입금액 백분위 자료

에 따르면 2019 귀속연도

종합소득을 신고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는

총 2천776명이다.

유튜버 사업자 첫 소득신고 공개

‘상위 1%' 얼마나 벌었나?’

유튜버 사업자들이 신고한

첫 소득 신고은? 총 875억 원

1인당 연평균 수입 금액은

3152만 원이다.

상위 10%는 연평균

2억 원위 소득을 하위 50%는

연평균 100여만 원을 벌었다.

수입금액은 경비를

차감하기 전 금액으로

매출액과 유사한 개념이다.

업종코드가 생기기 전

유튜버는 기타 자영업 코드로

소득을 신고했기 때문에

소득을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2천776명 총 875억 수입

국세청은 인터넷 모바일 기반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

수익을 올리는 유튜버 등의

신종 사업자의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2019년 9월부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업과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를 신설했다.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업은

스태프나 시설 없이

방송을 제작 진행하는

1인 유튜버가 대표적인 유형이다.

업종코드 신설 후

첫 종합소득 신고에서

유튜버를 포함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업자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27명의 총수입 금액은

181억 2천500만 원으로

1인당 연평균 수익

6억 7천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에 속하는 277명

1인당 평균 수입금액은

2억 2천만 원가량이다.

하위 50%의 수입금액은

총 15억 원으로 1인당

평균 108만 원 수준이었다.

하위 33%에 속하는

917명의 평균 수입금액은

연간 100만 원에도 못 미쳤다.

블로그 창작자들 하나 둘 유튜브로 뿅뿅

10만 명 이상 계정 채널 수가

약 3천400개라는 유튜브

통계 분석업체 집계를 고려하면

유튜버의 2019 귀속

종합소득 신고가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구독자수가

10만 명이 넘으면

연간 수입이 수천만 원

가량으로 추정된다.

국세청 관계자는

별도의 업종코드 신설 이후에도

과거대로 기타 자영업은

신고하는 유튜버도 있었기 때문에

소득 신고를 하는

유튜버의 규모는 2천776명

보다 더 많다고 설명했다.

양경숙 의원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더라도

과세당국이 신종 사업자 소득

파악에 한계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

과세코드가 신설됐지만 여전히

유튜버 개인이 자진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세 당국이

수익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인만큼 자진신고를

철저하게 유도하고

소득세 탈세를 하지 못하도록

국세청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