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소기업 취업자를 위한 소득세 감면신청이 진행중입니다. 편하게 신청하실수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작성하게되었습니다. 중소기업에 다니고계신분들이라면 꼭 신청하시고 세금 감면을 받기를 바랍니다.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이란?
중소기업의 취업을 활성화 하고, 청년층과 노년층, 장애인과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해당 대상자의 소득세를 감면해주는 국가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중소기업에서 재직 중인 만 15세~34세 이하의 직장인이라면 2018년 이후 취업자를 기준으로 소득세의 최대 90%를 감면해 주는 제도입니다.. 최대로 150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신청 방법은?
홈택스> 성실신고 지원 > 신고서식 및 첨부 서류 >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 감면 신청서 작성입니다.
신청서 작성방법은
1. 성명: 신청자 본인 이름 작성
2. 주민등록번호: 신청자 주민 번호
3. 주소: 신청자 현재 주민등록 등본상 주소지
4. 취업자 유형: 신청자의 취업 유형
5. 중소기업에 취업한 날 연령 / 취업일 / 생년월일
6. 병역 근무기간
7. 병역 근무기간 차감 후 연령
8. 감면 기간 시작일
9. 감면 기간 종료일
항목에 따라 작성해주시면됩니다.
5번 중소기업에 취업한 날 연령 / 취업일 / 생년월일에 대하여 헷갈려하시는분들이 많은데
중소기업에 취업한 날 연령과 취업 일은 생애 처음으로 중소기업에 취업한 날의 연령이 아니라 처음 소득세 감면을 신청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의 취업 일을 뜻합니다.
소득세 감면 시작일은 중소기업을 처음 입사한 날짜를 기준으로 시작이 됩니다. 만약 2019년에 A 중소기업에 취업했다가 퇴사 후 다시 2021년에 B 중소기업으로 재입사를 하는 동안 중소기업 재직자 소득세 감면 혜택을 신청하지 않았다면 소득세를 감면받을 신청일을 A 회사 취업 일로 할지 B 회사 취업 일로 할지는 신청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알기쉽게 예시를 들자면 B 회사 입사일을 기준으로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고 싶다면 5번 항목을 B 회사 입사일을 기준으로 신청자의 연령, 취업일, 생년월일을 순서대로 기입하면됩니다. 마찬가지로 8번과 9번 감면 기간 시작일과 종료일도 B 회사 입사일과 소득세를 감면받게 될 향후 종료일을 작성하시면됩니다.
병역일 계산방법
네이버 날짜 계산기를 이용하여 입대일과 전역일을 기입하시면 쉽게 구하실수있습니다.